간만에 텔레비젼 틀어 놓았다 우연히 보게된 MBC 뉴스데스크의 각국 물가 비교 뉴스, 서울의 물가가 다른 나라 대도시와 비교해서 얼마나 비싼지를 알아본다는 것인데…
1) 해리 포터 시리즈중 불의 잔 단행본
도쿄 1만 2천 8백원 (단행본 1권으로 출판)
서울 단행본 1권을 4권으로 나눠 출판, 총 3만원
2) 에릭 클랩튼 공연 좌석료
도쿄 S석 7만 6천원/인; 서울 S석 18만원/인
3) 샤넬 스킨 로션
도쿄 5만 2천원; 서울 6만 5천원
4) 양주 조니 워커 블랙 750ml
도쿄 1만 6천원; 서울 3만 3천원
5) 골프채 – 캘러웨이 최신 드라이버
뉴욕 28만원; 도쿄 27만원; 서울 60만원
6) 골프장 이용료
한국은 미국의 5배, 일본의 2배.
미국 현지인과의 인터뷰: “한국에서 골프를 치려면 250달러드는데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한 게임에? 지금 농담하는 겁니까?”
도대체 무슨 생각으로 이런 비교를 했던 것일까? 뉴스 듣자 마자 열받아 생각난 것 그냥 주욱 적으면:
- 한국에서의 왜곡된(?) 문화상품 및 사치품 유통 구조에 대해서는 언급없이 그냥 직접 비교하는 저 단순함;
- 더 비싸야 좋은 줄 알고 사는 일부 사치품 소비층에 대한 비판 없는 물가 비교;
- 골프가 비교적 저렴하게 즐길 수 있는 대중 스포츠인 미국에서의 골프장 이용 가격을 그대로 한국과 비교하는 몰지각
서울의 물가가 비싸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지만 집값을 제외한다면 일반 시민들이 생활하면서 소비하게 되는 소비재, 대중교통 수단 등은 외국 대도시에 비해서 많이 저렴하다는 것 역시 사실이다. 서울 종로 피맛골에서 친구 만나 둘이 2만~3만원이면 푸짐하고 맛있는 저녁을 먹으며 소주 한병 곁들일 수 있지만 런던의 도시에서 그런 음식을 그 가격에 먹기엔 불가능하다는 것은 왜 빼먹었나? 한국의 담배값은 2500원이지만 유럽에서는 5천원, 영국에서는 만원이라는 것은 왜 언급안하나?
MBC 뉴스데스크의 보도가 여가 물가가 지나치게 비싸 서민들이 향유하기에 힘들다라는 것을 보도하려는 의도였다면 단순한 직접 비교 대신에 왜 이렇게 비싼지 그 문제점을 조금이라도 짚어주고 개선책을 찾아봤어야 할 것이다. 그게 아니라면 그 보도의 결론은 외국 여행할 여력이 있는 이들에게 “한국에서 즐기지 말고 외국가서 즐깁시다” 라는 메시지만 전달할 뿐이다. 도대체 60만원 주고 골프채 드라이버를 살 사람들, 18만원 주고 (혼자 가는 사람은 없을테니 최소 2인이라면 36만원) 에릭 클랩튼 가는 사람들이 한국 인구의 몇 %나 될 것이라는 말인가? 서민의 삶이 힘들다고 툭하면 내뱉는 뉴스는 실제로는 중상류층 이상의 사람들을 위한 뉴스 뿐이다.